검사/시술/수술정보
- 정의
혈장교환술은 환자의 혈액 안에 있는 질병을 유발하는 병적인 성분을 혈액성분 채집기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제거한 뒤, 제거한 혈장의 양만큼 신선동결혈장이나 알부민을 보충합니다. 혈액의 성분 중 액체성분인 혈장 안에 있는 자가면역항체, 면역복합체, 독성 물질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새로운 혈장단백을 보충하는 것입니다. 이는 혈액학적, 신경학적, 대사성, 신장, 전신성,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혈장교환술이 이용됩니다.
혈장교환술은 투석으로는 제거하지 못하는 혈장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검사시기
고점도 증후군, 구드패스츄어 증후군, 수혈 후 자반증, 혈전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급성 길랑-바렛 증후군, 근무력증 등의 경우 시술을 혈장교환술을 시행합니다.
- 준비사항
치료 전 혈액검사를 실시합니다.
치료에 의해 복용한 약물의 효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복용 중인 약물을 미리 의료진에게 알려 복용 유무를 확인합니다.
- 검사/시술/수술 방법
1. 여러 개의 출입구를 가진 혈관 카테터를 이용하여 혈장교환술을 시행합니다. 만약 카테터가 없다면 삽입 후 시술을 진행합니다.
2. 혈장교환술 기계와 혈액(신선동결혈장)을 준비합니다.
3. 한 쪽 카테터로는 지속적으로 혈액을 혈액성분 채집기를 이용하여 혈장을 제거합니다.
4. 혈장 교환 원리는 원심분리법과 막여과법으로 나뉘어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원심분리법은 혈액 안의 고체와 액체 성분을 구분하는 방법이며, 막여과법은 특수 제작된 막여과기로 혈장과 단백질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5. 혈장이 제거되고 남은 혈액 성분과 대체용액(알부민 또는 신선동결혈장)을 다른 쪽 카테터로 환자에게 주입합니다.
6. 치료가 종료되면 카테터 삽입부위와 소독 상태를 확인합니다.예상 소요 시간은 약 2~3시간 정도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소요시간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검사결과
1회 혈장 교환량은 보통 1~1.5배 범위에서 시행하며, 환자의 상태와 경과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2주에 6~8회 정도 혈장 교환술을 시행합니다.
치료 후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변화된 혈액 수치를 비교합니다.
총 혈장량의 1배만큼 혈장교환술을 시행하면, 혈장의 63.2%가 제거됩니다. 2배만큼 제거하면 혈장의 약 86.5%가 제거되고, 3배만큼 제거하면 약 95%가 제거됩니다.- 주의사항
혈소판 수치가 낮거나 혈액응고인자가 부족한 경우 출혈의 위험이 있어 시술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주입되는 보충액의 성분에는 응고를 막는 성분이 있는데, 혈액과 보충액이 너무 빨리 주입되면 항응고성분의 의해 손 끝과 입 주변이 얼얼한 느낌, 가슴이 시원한 느낌, 울렁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후 저혈압, 혈관 미주신경성 반응, 알레르기, 오한, 과호흡, 감염, 공기 색전증, 출혈, 용혈, 혈액응고, 심정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