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혈구제거-혈액제제란 무엇입니까?
전혈에는 약 109개, 농축적혈구에는 약 108-109개, 농축혈소판에는 약 107-108개, 그리고 성분채집혈소판에는 약 106-108개나 되는 많은 양의 백혈구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백혈구는 수혈된 후 발열성 수혈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HLA 등 백혈구 항원에 의한 동종면역이 유발되어 혈소판수혈 불응증(platelet refractoriness)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cytomegalovirus(CMV) 등의 바이러스는 백혈구 세포내에서 증식하므로 수혈될 백혈구가 일종의 바이러스 운반체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면역기능이 저하 되어 있는 환자에게 CMV 등 바이러스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발열성 수혈부작용을 예방하려면 혈액제제에 함유되어 있는 백혈구 수를 5 x 108개 이하로 줄여야 하고 HLA 동종면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5 x 106개 이하로 감소시켜야 합니다.
백혈구를 제거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백혈구제거 필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백혈구제거 필터를 사용하면 99.9% 이상의 백혈구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쓰게 됩니까?
1) 발열성 수혈부작용의 예방
2) HLA 동종면역에 의한 혈소판 수혈불응증의 예방
계속적인 혈소판 수혈이 예상되는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또는 항함제 치료시에는 처음부터 반드시 백혈구제거 혈액제제를 사용하여야 동종면역에 의한 혈소판 수혈불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3) CMV 등 바이러스 감염 예방
면역억제제를 투여하고 있는 장기이식 환자 또는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등에게 적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