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사/시술/수술정보

다른질환보기
  • 전체대장절제술
    전체대장절제술(Total proctocolectomy )
정의

큰창자(Large intestine)란 복강에 위치한 작은 창자에서 항문까지 이르는 장기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것으로, 여기에 포함되는 결장, 직장, 항문을 모두 절제하는 것을 전체큰창자절제술이라 합니다.

준비사항

수술 전 혈액 검사, X선 촬영, 초음파, 직장경, CT, MRI, 내시경 검사 등을 이용하여 대장의 전체적인 병변 상태를 확인합니다.

 

대장 협착 및 금기가 아닌 경우 몇 주 전부터 고 섬유질의 식이를 진행하고, 하루에 1.5L 정도의 수분을 섭취하여 장 기능을 촉진시킵니다.

 

수술 하루 전부터 유동식을 섭취하다가, 수술 전날 자정부터는 금식합니다.

 

수술 전 정해진 일정대로 장 준비를 진행합니다.

적응증

염증성 장질환 (주로 궤양성 대장염)이나 가족성 용종증의 경우 수술 적응증이 됩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1. 전신 마취를 시행합니다.
2. 복부에 작은 절개를 가하여 복강경 수술로 진행하거나, 가능하지 않은 경우 복부에 큰 절개를 가하여 개복 수술을 진행합니다.
3. 전체 대장 및 직장을 절제하며, 악성 종양이 발견된 경우 종양의 전이가 예상되는 결장, 직장, 항문 및 근처의 림프절을 제거합니다.
4. 회장낭을 만들어 항문에 연결하고 복부에 추가로 임시 회장루를 형성합니다.

 

수술 준비 및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부득이하게 수술 방법이 변경되거나 수술 범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항문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의 경우, 영구적인 회장루를 형성합니다.

경과합병증

수술 후 마취와 관련된 합병증, 출혈, 주변 장기 손상, 수술 부위 조직의 과다 증식, 체내로 소화된 영양소의 흡수 장애, 회장루 주변 피부의 가려움,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일정 기간 동안 금식 후 유동식부터 진행하며, 유동식의 소화가 원활하면 죽, 정상 식이까지 점진적으로 진행합니다.

 

임시 회장루는 수술 후 3-4개월 이후에 복원이 가능하고, 이후 항문으로 배변이 가능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 시 추가적으로 약물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수술 후 혈전이 발생하면 신체의 어느 곳으로든 혈전이 이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혈전이 폐혈관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명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혈전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후 빠른 시일 내에 움직임이 가능해지면 걷는 것을 권장하며, 입원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혈전용해제를 투약할 수 있습니다.

헬스팁

전체큰창자절제술 후에 배변이 횟수가 증가하더라도 여러 가지 운동, 등산 등의 대부분의 외부 활동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크론 병,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경우 지속적인 의학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증상백과 - 증상에 대한 모든것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