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자궁경부염(Cervicitis)- 증상
- 복부 통증, 골반 통증, 비정상적 질 분비물, 생식기 통증, 생식기 부종, 잔뇨감, 비정상적 질출혈
- 관련질환
-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증상이 없는 HIV 감염, 자궁경부암, 임균성 요도염, 비임균성 요도염, 임질, 성병
- 진료과
- 산부인과
- 동의어
- 자궁경관염,자궁입구염
 
- 정의
- 자궁경부염은 자궁 입구에 있는 자궁경부에 염증이 생기거나 균에 감염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주로 자궁경부나 자궁경관을 덮고 있는 점막에 흔히 발생합니다. 전염성일 수 있습니다. 사춘기 이후 모든 연령층의 여성에게 나타납니다. - 급성 자궁경부염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나타납니다. 특이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만성 자궁경부염은 장시간에 걸친 감염증입니다.  
- 원인
- 자궁경부염은 성전파성 질환(sexually transmitted disease, STD)에 의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임질(Gonorrhea), 클라미디아(Chlamydia), 트리코모나스증(Trichomoniasis)과 헤르페스(Herpes), 칸디다(Candida) 등이 있습니다. - 감염이 아닌 다른 원인으로는 화학적 자극제 노출, 외상, 잦은 질 세척 등이 있습니다. 만성인 경우에는 급성 염증이 여러 번 반복되거나 완전히 치료되지 않았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급성 질염이 진행되어 생길 수 있습니다.  
- 증상
- 자궁경부염은 전혀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여성들은 질 분비물이 많이 흐르고 부정 출혈이 올 수 있습니다. 성관계 후에 질 출혈이 올 수도 있습니다. 급성인 경우에는 질에 통증이 있고, 노란색 분비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만성인 경우에는 소량의 질 분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요통과 잔뇨감,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성교할 때 통증과 같은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진단
- 자궁경부염을 진단하기 위해 문진을 시행합니다. 자궁경부를 관찰하기 위해 골반 검진을 실시합니다. 질확대경을 이용하여 붉고, 충혈되고, 붓거나 자극받은 자궁경부의 표면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 골반 검진 시 의사는 자궁 입구로부터 분비물이나 고름을 채취하여 임질,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 성기 헤르페스, 곰팡이나 세균성 질증(bacterial vaginosis) 같은 감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자궁경부, 자궁, 난소의 동통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환자의 질 내에 삽입하여 골반 부위를 내진하기도 합니다. 자궁경부, 자궁, 난소에서 동통이 느껴진다면 자궁경부염뿐만 아니라 골반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자궁경부염 치료는 감염의 종류에 따라 진행합니다. - 검진상 자궁경부염을 시사하는 소견이 있으면 의사는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항생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성기 헤르페스가 있는 경우 항바이러스제제를 처방합니다. 성기 헤르페스가 처음 생겼을 때에는 최대 10일까지 약물을 복용해야 합니다. - 자극이나 외상에 의한 자궁경부염은 세균을 대상으로 하는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관련된 염증은 수일에서 수주 이내에 치유됩니다. 자궁경부에 추가적인 자극을 주지 않기 위해서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질 세척, 성관계와 같은 자극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경과
- 심한 만성 자궁경부염인 경우, 염증이 요도까지 퍼지면 소변을 볼 때 작열감을 느낄 수 있고, 소변을 자주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자궁경부염이 자궁, 나팔관, 난소까지 퍼지면 복부 통증이나 발열을 동반하는 골반 염증 상태가 됩니다. 골반염은 불임이나 반흔 조직으로 인한 통증과 같은 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로 치료되지 않는 농양을 동반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 자궁경부암은 치료를 시작하면 수일 이내로 사라집니다. 골반염이 있다면 감염이 완전하게 치료되는 데 수주가 걸릴 수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은 성 파트너로부터 새롭게 감염되지 않는다면 항생제로 잘 치료됩니다. 재발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성기 헤르페스는 항바이러스제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자주 재발하면 항바이러스제 억제 요법으로 발생 빈도와 질환의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자궁경부염은 흔히 성 전염성 질환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성관계를 할 때마다 콘돔을 사용하고, 성 파트너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성 전염성 질환으로 진단된다면 성 파트너와 함께 치료받아야 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